영어 이디엄: speak on (the) condition of anonymity - 익명을 전제로 말하다, 신원을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이야기하다
이번 포스트에서는 영문 뉴스에서 종종 등장하는 speak on (the) condition of anonymity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려 한다.
'speak on (the) condition of anonymity'는 “익명을 전제로 말하다”, “신원을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이야기하다”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데, 언론보도나 정부기관 등에서 민감한 정보를 다룰 때 자주 사용된다. 내부자 또는 관계자가 정보를 공개할 때, 본인의 안전이나 직업상의 이유로 익명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, 영어 기사에서 흔히 a government official, speaking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, said…와 같이 표현한 것을 볼 수 있다.
[유사한 표현]
off the record - 기록에 남기지 않는 조건으로, 비공식적으로
keep my name out of it - 내 이름은 끼지 않게 해줘’라는 의미의 구어체 표현, 보통 사적인 대화에서 사용
prefer to remain anonymous - 익명으로 남고 싶다는 정중한 표현
[대화 예문]
A (Journalist): Can you confirm the rumors about the policy changes?
B (Official): I can, but only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.
A: Of course. Your identity will not be revealed.
B: The changes will be announced officially next week.
A: That’s big news. Thank you for trusting me.
B: Just make sure my name doesn’t appear anywhere in the report.
A (기자): 정책 변경에 대한 소문을 확인해 주실 수 있나요?
B (관계자): 확인해 드릴 수는 있지만, 익명을 전제로 해야 합니다.
A: 물론입니다. 신원은 공개되지 않을 거예요.
B: 정책 변경은 다음 주에 공식 발표될 예정입니다.
A: 큰 뉴스군요. 믿고 말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B: 제 이름이 기사에 절대 나오지 않도록 해 주세요.
A (Colleague): Are you really going to report the manager?
B (Whistleblower): Yes, but I’ll only speak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.
A: That makes sense. It’s risky otherwise.
B: HR said they’d keep my identity confidential.
A: I hope they do. You’re doing the right thing.
B: I just want the toxic environment to change.
A (동료): 너 진짜로 매니저를 신고할 거야?
B (내부고발자): 응, 근데 익명을 전제로만 말할 거야.
A: 그게 현명하지. 그렇지 않으면 위험해.
B: 인사팀에서 내 신원은 비밀로 해주겠다고 했어.
A: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. 너 옳은 일 하는 거야.
B: 그냥 이 유해한 분위기가 바뀌었으면 해.